올해 공개된 챗gpt 공개와 함께 새로운 검색 엔진으로 떠오르는 대화형 ai 챗봇의 종류 및 활용법들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. 앞서 말씀드린 챗gpt는 말 그대로 혁명에 가까운 진보를 보여줬는데요. 과연 ai 챗봇은 어떤 식으로 진화할까요.
- 목차
- 대화형 챗봇의 종류
- 시나리오, 트리 챗봇
- AI 챗봇
- 대화형 챗봇 활용법
- 정보 전달
- 작문
- 생활 도우미
- 대화형 챗봇의 종류
대화형 ai 챗봇
- 챗봇
- 대화형
- 자연어 처리된 머신러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에게 대화 상대 혹은 정보 전달자의 기능을 합니다.
- 시나리오형
- 대화가 가능하지만, 정해진 시나리오에 따라 일률적인 답변을 내놓습니다. 자유도가 매우 낮습니다.
- 트리형
- 대화형 챗봇 항목에서 가장 애매한 위치로 이용자에게 몇 가지 트리를 제시한 후 그 트리에 따른 답변을 줍니다. 트리에 따라 좋은 편의성과 사용성을 제공하긴 하지만, 이 역시 자유도가 낮습니다.
- 추천형
- 질문 속 키워드를 분석해 원하는 답변을 제공합니다. 대화형 챗봇과 비슷해 보이지만, 답변은 일률적입니다.
- 대화형
시나리오, 트리 챗봇
많은 분들이 챗gpt를 통해 새로운 대화형 챗봇을 만나보셨을겁니다. 하지만 이전부터 대화형 챗봇은 우리 실생활에 스며들어 있었는데요. 카카오톡을 통한 쇼핑, 은행, 보험 상담 안내 서비스를 비롯해 실생활 속 길 찾기 안내 등에서 쉽게 볼 수 있었던 모든 자동화 서비스는 사실상 대화형 챗봇의 한 가지 유형이었습니다. 시리(siri), 빅스비 역시 대화형 챗봇의 한 종류이죠.
하지만 챗gpt와 단순한 대화형 챗봇은 그 포맷을 공유할 뿐 큰 차이점이 존재합니다. 바로 인공지능(AI)기술의 접목 여부인데요. 기존 챗봇의 작동 원리는 몇 가지 틀 내에서 질문을 유도하고 정해진 답을 주는 방식으로 상당히 단순했습니다. A 질문에 F(A)라는 답을, B 질문에는 F(B)라는 고정적인 답변을 시나리오로 저장해 놓고 제공하는 것입니다.
AI 챗봇
기존의 대화형 챗봇, 트리형 챗봇, 시나리오형 챗봇의 유형이 존재했지만, 언급 드린 대로 사실상 비슷한 알고리즘으로 작동했습니다. 현재까지도 기업과의 소통 및 정보 제공의 기능을 충실히 하고 있죠. 하지만 최근 개발되는 챗gpt와 같은 ai 챗봇의 경우 챗봇에 높은 수준의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되고 있습니다.
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검색 엔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것입니다. 검색창에 검색을 하고 원하는 답변이 담겨 있을 법한 글을 클릭해 정보를 수용하는 것이 아닌 오직 검색창에 찾고자 하는 내용을 검색하면 원하는 지식을 즉각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죠.
이때 대화 형식으로 추가적인 질문이 가능하고 답변에 대한 오류를 지적할 수 있습니다. 인공지능이 질문자의 말속에서 논점과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죠.
현재 빅테크 기업들은 새롭게 검색 시장을 점유할 것으로 예상되는 AI 챗봇 개발에 온 힘을 쏟고 있습니다. 메타, 구글, 애플은 인공지능 챗봇 기업에 막대한 투자를 감행 중입니다.
- 1세대
- 심심이
- 파이팅 루나
- 2세대
- 이루다 2.0
- ChatGPT
- 바드
- New Bing
대화형 챗봇 활용법
- 정보 전달
- 한계가 명확하지만, 높은 수준의 데이터를 기반한 정보 제공
- 작문
-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문서 작성, 짧은 소설 짓기 등 창작과 작문의 영역에서 탁월
- 생활 도우미
- 생활에 밀접한 인공 지능 기술로 실생활에 도움
정보 전달
대화형 AI의 개발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활용법은 정보 제공입니다. 챗 GPT의 데이터 정확도는 미국 MBA, 변호사 시험, 의사 자격증 시험을 모두 통과할 정도니 신뢰도가 높은 편입니다. 하지만 정치, 사회, 경제 등 유동적인 변수가 많은 지식의 경우 매일 혹은 매 시간마다 업데이트가 필요할 정도로 변화가 빠른 편이죠.
때문에 2021년 마지막 업데이트를 거친 챗 GPT의 경우 유동성 지식에 대한 정확도에서 매우 취약한 모습을 보여줍니다. 예를 들어 2022년 진행된 정부 지원금에 대한 정보는 챗 GPT를 통해 습득할 수 없는 것이 있겠죠. 때문에 온전한 정보 전달자 혹은 검색 엔진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아직까지 한계가 있습니다.
작문
대화형 AI 챗봇은 정보를 문장 단위로 습득하지 않습니다. 말그대로 정보 그 자체를 습득하기 때문에 내장된 정보들을 유기적으로 변형한 후 직접 문장을 작성해 제공합니다. 때문에 문장의 완성도가 매우 높아 실제 사람과 대화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기 쉽죠.
이러한 방식으로 '쓸쓸한 가사 써줘', '(문장), 이 문장 후에 나올 것 같은 대사나 이야기 써줘'와 같은 질문에 직접 작문한 문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입니다. 창작의 영역에서도 문장의 완성도는 여전히 높습니다.
생활 도우미
가장 여러 방면에서 실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활용법입니다. 번역, 플래너, 금융 상담, 계산기 등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실생활에 밀접한 편의성을 제공합니다. 개발 영역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검색 엔진이 아닌 영화 아이언맨 속 비서와 같은 일을 수행하는 자비스 같은 도우미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이때 현대차 그룹에 인수된 보스턴 다이내믹스 등의 하드웨어 로봇 제조 회사와 협력해 일상을 이롭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.
댓글